임베디드

임베디드

  • 분류 전체보기 (1142)
    • PL (150)
      • C++ (108)
      • Python (39)
      • Java (3)
      • Kotlin (0)
    • 알고리즘 (462)
      • 암기 (91)
      • 백준 (328)
      • 삼성 (17)
      • 종만북 (4)
      • 프로그래머스 (22)
    • 임베디드 (411)
      • 하드웨어지식 (12)
      • ATmega128 (98)
      • 32F429IDISCOVERY (57)
      • 임베디드리눅스 (15)
      • 리눅스커널스터디16기 (2)
      • 리눅스시스템프로그래밍 (97)
      • 운영체제 (26)
      • 컴퓨터구조 (4)
      • dd (1)
      • ubuntu (81)
      • opencv (18)
    • 드론 (99)
    • TIP (1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임베디드

컨텐츠 검색

태그

#linuxbirthday_a_message_from_Seoul_Korea !!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1142)

  • 크로스 개발환경 구축

    2019.04.14
  • 14890 경사로

    2019.04.14
  • 11058 크리보드

    2019.04.14
  • AVR 스터디 [2019.04.14]

    2019.04.14
  • cout 출력 정렬하기

    2019.04.14
  • 원소를 많이 지우는 경우

    2019.04.14
크로스 개발환경 구축

1. 크로스 tool-chain 컴파일 환경 구축 2. 부트로더를 플래시에 올리기 위한 JTAG fusing system 3. 부트로더 제작

2019. 4. 14. 22:46
14890 경사로

for문 x,y 범위 설정을 단정짓는 바람에 빠진 반례를 찾지 못해서 오래 걸렸다 시뮬레이션 문제로 2차원 배열에서 각 원소를 검사해야할 땐 pair을 사용하자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4890 https://github.com/surinoel/boj/blob/master/14890.cpp

2019. 4. 14. 22:01
11058 크리보드

1. 다이나믹 문제인지 확인 n번째에 오는 길이의 수는 항상 최대임을 보장받는다 2. 배열 정의 d[n] n번째 오는 최대의 길이 3. 점화식 세우기 실제로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는 A를 붙이거나 혹은 ctrl + V를 한 경우다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8 https://github.com/surinoel/boj/blob/master/11058.cpp

2019. 4. 14. 19:57
AVR 스터디 [2019.04.14]

1. avr studio 7 및 ISP 드라이버 설치 후 동작 확인 2. git 설치 및 프로젝트 관리 3. 수업 방향 및 과제 설명 4. [ATmega128로 배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밍, 제이펍] 5. 다음주 스터디 [2019.04.21] C언어 과제 확인 및 LED ON/OFF로 비트마스크 공부 UART

2019. 4. 14. 19:49
cout 출력 정렬하기

https://wndproc.tistory.com/entry/C-%EC%B6%9C%EB%A0%A5-%EC%A0%95%EB%A0%AC%ED%95%98%EA%B8%B0setw-seft-setprecision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t[10][10]; int main(void)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ptr); // 우측 정렬 cout.setf(ios::right); // 좌측 정렬 // cout.setf(ios::left); for (int i = 0; i < 10; i++) { for (int j = 0; j < 10; j++) { cout

2019. 4. 14. 02:02
원소를 많이 지우는 경우

1. 삭제가 O(1)인 list를 사용한다. 단, 원소 탐색이 불편하고 O(N)이라는 단점이 있다 2.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vector 혹은 deque의 경우에, pair이라는 자료형을 효과적으로 사용해보자

2019. 4. 14. 01:54
1 ··· 170 171 172 173 174 175 176 ··· 191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