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임베디드

  • 분류 전체보기 (1142)
    • PL (150)
      • C++ (108)
      • Python (39)
      • Java (3)
      • Kotlin (0)
    • 알고리즘 (462)
      • 암기 (91)
      • 백준 (328)
      • 삼성 (17)
      • 종만북 (4)
      • 프로그래머스 (22)
    • 임베디드 (411)
      • 하드웨어지식 (12)
      • ATmega128 (98)
      • 32F429IDISCOVERY (57)
      • 임베디드리눅스 (15)
      • 리눅스커널스터디16기 (2)
      • 리눅스시스템프로그래밍 (97)
      • 운영체제 (26)
      • 컴퓨터구조 (4)
      • dd (1)
      • ubuntu (81)
      • opencv (18)
    • 드론 (99)
    • TIP (1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임베디드

컨텐츠 검색

태그

#linuxbirthday_a_message_from_Seoul_Korea !!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1142)

  • fork()후 자식프로세스의 시작과 마지막

    2019.05.09
  • EEPROM과 Flash Memory

    2019.05.09
  • AVR과 arduino의 차이

    2019.05.09
  • AVR 스터디 [2019.05.12]

    2019.05.09
  • 좀비 프로세스

    2019.05.08
  • 17178 줄서기

    2019.05.08
fork()후 자식프로세스의 시작과 마지막

fork()는 부모 프로세스 전체를 복사해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게 된다. 전체를 복사했다고 해서 메인 함수부터 실행하지는 않는다. 새로 생겨난 자식 프로세스는 fork() 함수를 호출한 이후부터 실행이 된다. fork()의 return value가 0인 부분(자식 프로세스 검사)부터 실행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자식 프로세스 실행의 마지막은 return value가 0으로 감싼 조건문까지다 https://github.com/surinoel/Linux-SP/blob/master/fork_start_end.c

2019. 5. 9. 12:42
EEPROM과 Flash Memory

1. EEPROM은 On-Board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을 Byte 단위로 읽고 쓸 수 있는 SRAM처럼 사용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NVRAM)이다. Read, Write 시간이 SRAM에 비하여 다소 느려 동일하게는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실시간 저장 메모리나 스택 메모리가 아닌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는 설정값 저장용 메모리로 적합하다. EEPROM 소자는 28Cxxx의 형태로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다. 2. Flash Memory는 On-Board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을 Byte 단위로 읽을 수 있지만, Write는 Page, Sector라고 불리는 Block 단위로만 수행할 수 있는 변형된 EEPROM이다. 블록의 크기는 Memory 소자나 Maker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64Byte,..

2019. 5. 9. 04:45
AVR과 arduino의 차이

https://cafe.naver.com/lazydigital/7414 https://avrgeeks.com/avr-vs-arduino/

2019. 5. 9. 04:19
AVR 스터디 [2019.05.12]

1. 인터럽트 필요성 - 2가지 일을 실행해야 하는데 main 하나에서 동작하기엔 오동작 위험성이 존재할 때 2. 인터럽트 개요 - 인터럽트 3가지 조건(1. 컨트롤 레지스터 2. 마스크 레지스터 3. sei())과 채터링 발생에서의 EIFR clear 필요성 3. 세그먼트 구동 - 눈속임 원리 이해와 배열 인덱스를 활용한 프로그램 4. 소스코드 관리 - 각 역할마다 헤더와 소스로, 헤더파일엔 헤더와 함수 프로토타입 소스파일엔 전역변수와 함수 내용 - 변수를 가져다 쓸땐 extern 선언 1번 과제 2번 과제

2019. 5. 9. 02:50
좀비 프로세스

1. 종료처리 중 멈춰있는 프로세스 2.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하였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해당 프로세스에 대해 종료를 처리하지 않아 커널 프로세스 테이블에 남아있는 상태의 프로세스 3. 좀비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커널 프로세스 테이블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 장악 (pid 부족 현상이 생길 수 있다) 4. 좀비 프로세스를 만들지 않으려면,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에 대해 종료처리를 해야 한다 (wait, signal 등) COPYRIGHT 인프런,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2019. 5. 8. 23:05
17178 줄서기

로직은 총 3가지로 나뉜다. 모든 인원을 탐색하고 나서 1. 대기줄이 비어있다면 GOOD 2. 대기줄이 비어있지 않지만 차례대로 pop하면서 정렬 순서와 일치한다면 GOOD 3. 2번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BAD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178 https://github.com/surinoel/boj/blob/master/17178.cpp

2019. 5. 8. 18:56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191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